신유빈, 아시아선수권 女 단식 16강서 태국 선수에 충격패…여자복식은 준결행 엑스포츠뉴스 09.08


延伸閱讀  泰英有多少錢? “我知道我的錢”(Andahaeng)體育東亞07.02

신유빈-전지희 조는 지난 5월 남아공 더반에서 열린 개인전 세계선수권대회 여자 복식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는 등 세계랭킹 1위를 달리고 있다. 8일 여자 복식 8강전에서도 대만의 전즈여우-황이화 조(17위)를 3-0(11-9 16-14 11-5)로 완파하고 준결승에 올랐다.

다만 신유빈이 여자 복식 4강행 이후 치러진 여자 단식 16강전에서 맥 없이 무너져 큰 아쉬움을 남기게 됐다. 신유빈은 이번 대회 4개 종목에 모두 출전해 강행군을 펼치고 있다. 신유빈 활약이 이번 대회 여자 대표팀은 물론 한국 대표팀 전체 성적을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그러다보니 지난 7일엔 여자 단식과 여자 복식, 혼합 복식에서 총 4경기를 치르는 살인 일정을 소화했다. 이어 8일에도 여자 단식 두 경기와 여자 복식 한 경기를 했는데 결국 마지막 경기인 여자 단식에서 탈이 났다.

여자 단식을 씁쓸하게 마감한 신유빈은 이제 전지희와 짝을 이룬 여자 복식 준결승에서 총력을 기울이게 됐다. 준결승에서 상대할 상대는 중국의 쑨잉사-왕이디 조로 세계 랭킹은 없다.

하지만 둘이 복식을 해본 적이 드물어 랭킹이 없을 뿐 단식에선 둘 다 월드클래스여서 신유빈-전지희 조가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쑨잉사는 여자 단식 세계 1위, 왕이디는 여자 단식 세계 3위다. 쑨잉사는 그간 왕만위(5위), 왕이디는 천멍(2위)과 여자복식 조를 꾸려왔다.

延伸閱讀  “我們是紅魔”……對陣烏拉圭的一場公開歡樂比賽 [TF사진관]事實 11.24

전지희-신유빈 조는 결승에 오르면 기하라 미유-나가사키 미유(8위·일본) 조와 왕만위-천멍(93위·중국) 조가 붙는 또다른 준결승 승자와 챔피언 타이틀을 놓고 대결하게 된다.

중국이 출전하지 않은 2021년 도하 대회에서 여자 복식 우승을 차지한 전지희-신유빈 조는 대회 2연패에 도전한다. 여자 복식 준결승전과 결승전은 10일 잇따라 치러진다.

남자 복식에선 세계 1위 장우진-임종훈 조와 안재현-박강현 조가 나란히 준결승에 올라 동메달을 2개를 확보했다.

두 조 모두 준결승에서 중국 선수들을 상대한다.

한국 대표 남자 복식조로 지난 5월 세계선수권에서 은메달을 따냈던 장우진-임종훈 조는 마룽-왕추친 조, 이번 대회 복병인 안재현-박강현 조는 판전둥-린가오위안 조를 상대로 결승 진출을 다툰다.

중국의 남자 복식조 역시 복식 랭킹은 없지만 모두 단식 랭킹에서 8위 안에 드는 최고 수준의 선수들이어서 한국 조의 금메달 획득은 상당히 불투명하다는 분석이 많다. 1988년생임에도 변함 없는 기량을 과시하고 있는 마룽은 단식 랭킹이 세계 3위다. 왕추친은 세계 2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판전둥은 세계 1위, 린가오위안은 세계 8위다.

延伸閱讀  金圭利的《與張赫的20年友誼》…北村韓屋(平斯托朗)的日常生活就像電影一樣[종합]體育新聞 09.30

장우진-임종훈 조는 이날 8강에서 이란의 복병 니마 알라미안-노샤드 알라미안 조(24위)에게 3-2(10-12 6-11 11-8 11-8 11-4)로 극적인 역전승을 거두고 준결승에 올랐다. 장우진과 임종훈은 알라미안 형제의 변칙 공격에 2게임까지 속수무책으로 당했다.

3게임에서 3-7까지 몰려 패색이 짙었지만, 뒤늦게 상대 구질에 적응하더니 대역전극을 펼쳐 보였다. 안재현-박강현 조는 일본의 시노즈카 히로토-다나카 유타 조를 3-1(11-8 5-11 13-11 11-8)로 제압하고 4강에 진출했다.

한국 탁구는 이번 대회에서 여자 단체전 은메달, 남자 단체전 동메달, 혼합 복식 동메달을 수확했다. 남자 복식과 여자 복식에 준결승 진출까지는 성공해 최소 동메달 3개를 확보했는데, 금메달을 따내기 위한 길목에서 전부 만리장성 중국 조를 상대하게 됐다.

이번 아시아선수권에선 2년 전 도하 대회에서 코로나19 때문에 불참했던 중국이 세계 톱랭커를 전부 파견해 앞서 끝난 남자 단체전과 여자 단체전, 혼합 복식 금메달을 모두 따냈다. 반면 지난 도쿄 올림픽 혼합 복식에서 중국을 누르고 금메달을 따내 세계를 깜짝 놀라게 했던 일본은 에이스급 선수들이 빠진 채 이번 대회를 치르고 있다.

한·중·일 등 3국은 아시아선수권이 끝나면 오는 22일부터 열리는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만나 다시 메달을 놓고 다툰다.

  

사진=연합뉴스

김현기 기자 [email protected]

Copyright ⓒ 엑스포츠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